[수필]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
지난 8월 한국서 압도적 흥행 1위의 영화 ‘오펜하이머’를 봤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라는 책을 바탕으로 천재 물리학자 오펜하이머를 다룬 전기 영화다. 오펜하이머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원자폭탄 개발을 주도한 인물이다. 물리학 지식이 없어 3시간 내내 긴장을 하며 봤다. 유명한 실존 인물들이 많이 나와서 누가 누구인지 스토리 따라잡기가 힘들었다. 게다가 스크린에 터지는 폭탄과 같은 영상과 음향 때문에 깜짝깜짝 놀라곤 했다. 얼마 후 오펜하이머 신드롬으로 관련 내용이 쏟아져 “아! 그게 그런 것이었구나” 했다. 또한 가까운 친구 남편에게 핵분열에 관한 설명을 들었다. 친구의 남편은 미국 브라운 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고려대 교수로 있다가 퇴임 후 현재는 학술원 회원이다. 그 후 다시 한번 그 영화를 보니 이해하기 쉬워서 즐기면서 봤다. 오펜하이머는 하버드 대학에서 천재 소리를 들으며 화학을 전공했으나 물리학이 자신에게 더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실험 물리학의 성지인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원으로 유학을 떠난다. 그곳에서 실험 물리학에 서툴러 지도교수에게 낙제생 취급을 받고 자존심이 상한다. 사과에 독성 물질을 넣어 그를 죽이려는 시도까지 한다. 지독한 향수병과 우울증에 시달렸던 그는 정신질환으로 인정받아 정학처분만 받는다. 운이 좋았는지 이때 케임브리지 대학을 방문한 독일의 저명한 이론 물리학자를 만나 이론 물리학의 본산인 독일의 괴팅겐 대학에 편입한다. 그곳에서 박사 하위를 받고 젊은 엘리트 물리학자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미국으로 귀국한다. 패서디나에 있는 캘텍과 UC버클리 교수로 임명되고 그것이 훗날 맨해튼 프로젝트와 연결된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독일보다 먼저 핵폭탄을 개발하려고 ‘맨해튼 프로젝트’를 승인한다. (그러나 루스벨트는 핵실험의 성공을 3개월 앞두고 갑자기 서거하고 트루먼 부통령이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된다.) 오펜하이머는 그 프로젝트의 과학총괄책임자가 된다. 그는 뉴멕시코주의 사막 로스앨러모스에 거대한 연구단지를 건설하고 당대 최고의 과학자들을 영입한다. 그곳에 모여든 대부분의 과학자는 자신의 임무가 원자탄 제조의 일부인지도 몰랐다고 한다. 이런 불확실성과 혼돈의 현장을 통합으로 이끈 사람이 바로 오펜하이머다. 프로젝트의 총괄 사령관인 레슬리 그로보스 장군은 자신이 가장 잘한 결정이 오펜하이머를 로스앨러모스의 연구소장으로 발탁한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1945년 7월 16일,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한다. 작전명은 ‘트리니티 테스트’다.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지 않고 재현한 이 테스트가 이 영화의 클라이맥스다. 원자폭탄의 위력이 입증된 후 오펜하이머는 힌두교의 경전 ‘바가바드기타’에 나오는 말을 떠올린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 그는 6개국어에 능통했던 언어의 천재였으며 취미로 산스크리트어를 공부했다고 한다. 독일을 목표로 핵폭탄을 개발했으나 히틀러가 자살하고 독일이 항복했기 때문에 끝까지 저항한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을 투하한다.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오펜하이머는 ‘원자폭탄의 아버지’로 불린다. 미국인들은 그의 애칭 ‘오피’를 연호하며 열광한다. 하지만 그 엄청난 영광과 환희는 오래가지 못한다. 트루먼 대통령은 오피를 백악관에 초청하여 축하한다. 오피는 “내 손에는 피가 묻어 있다”고 말한다. 트루먼은 손수건을 내주며 핵폭탄을 개발한 건 당신이지만 사용을 명령한 사람은 바로 자신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보인다. 2차대전이 끝나고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시작된다. 트루먼은 수소폭탄 개발을 원한다. 그러나 오피는 수소폭탄 개발에 적극적으로 반대한다. 그로 인해 군부와 정치인들에게 미움과 의심을 사게 된다. 미국의 예상과 달리 소련이 얼마 후 원자폭탄과 수소폭탄을 개발하자 오피는 소련의 간첩이라는 혐의를 받고 AEC(원자력 위원회) 청문회가 열린다. 오피가 한때 공산당 단체에 기부한 사실과 그의 친동생, 아내, 애인이 공산주의 사상에 빠졌기 때문이다. 또한 영화 초반에 오펜하이머와 아인슈타인이 잠깐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당시 AEC 의장이었던 스트로스는 오펜하이머가 아인슈타인과 자기를 이간시킨다는 오해를 한다. 그 원한으로 스트로스가 그에게 공산주의자라는 누명을 씌운다. 게다가 청문회에서 애인과의 불륜 사실까지 밝혀지면서 그는 배신자가 된다. 1954년에 오피는 비밀취급 인가를 박탈당하며 정부의 핵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한다. 그가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을 선사하고도 공산주의자로 몰린 건 1950년대 미국의 거대한 매카시즘 광풍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명예 실추와 함께 공직에서 쫓겨난 오펜하이머에게 린든 존슨 대통령은 1963년, AEC 최고 상인 엔리코 페르미상을 수여한다. 그의 명예가 회복되긴 했지만 현실적으로 정치적인 면에서 약화된 상태다. AEC가 1954년의 결정을 완전히 취소한 건 그의 사망 55년 후인 2022년 바이든 정부에 의해서다. 그는 68년 만에 소련의 간첩이라는 혐의에서 완전히 벗어난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는 스트로스가 오해했던 아인슈타인과 오펜하이머의 실제 대화 내용이 나온다. 오펜하이머는 맨해튼 프로젝트 완료 후 아인슈타인에게 원자폭탄으로 인한 내적 갈등과 딜레마를 논의한다. 다른 국가들이 더 위험한 폭탄을 만들까 봐 두려워한다. 오펜하이머에 대한 아인슈타인의 의미심장한 말도 나온다. “자네가 버클리에서 나를 위해 리셉션을 열고 상을 준 일이 있지. 그런데 그건 날 위한 게 아니라 자네들 모두를 위한 것이었지. 이제 자네 차례야. 자네가 넉넉히 유명해지고, 벌을 받고 난 후에 세상은 자네에게 연어와 감자 샐러드를 대접하고 메달도 줄 거야. 모든 걸 용서했다고 말할 테지. 하지만 그건 자네를 위한 게 아니라, 그들 자신을 위한 거야.” 영화는 수없이 많은 핵무기가 온 세상을 뒤덮는 환영을 보고 오펜하이머가 두 눈을 질끈 감는 것으로 끝난다. 영화에서는 주로 원자폭탄 개발을 주도한 오펜하이머의 천재적이며 정치적인 과학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영화 초반부에 그가 미술관에 가서 본 피카소의 그림이 스크린 가득히 나온다. 스트라빈스키 음악을 들으며 T.S. 엘리엇의 황무지를 읽고 힌두교와 인도 문학에도 심취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도 보여준다. 그가 다방면에 조예가 깊다는 것을 말해 준다. 세계 2차 대전 중에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해 여러 나라가 노력했다. 실제로 독일의 핵무기 개발 시도는 미국보다 몇 년 앞섰다. 그런데 유독 미국만이 원자폭탄 개발에 성공한 이유는 무엇일까? 오펜하이머라는 걸출한 인물의 리더십과 그가 막힘없이 일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을 해 준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배광자 / 수필가수필 오펜하이머 원자폭탄 오펜하이머 신드롬 원자폭탄 개발 천재 물리학자